교체용 커넥터를 찾는 방법
최근 5년간 근무 시간 대부분을 전화나 웹으로 DigiKey에서 판매하는 부품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를 고객과 이야기하며 보냈습니다. DigiKey 웹 사이트의 영역 중에서 커넥터 부분만큼 자세한 설명이 나온 곳도 없으며, 커넥터, 상호 연결 카테고리에 열거된 부품이 2백만 개가 넘으니 놀랄 만한 것도 아닙니다. 오늘은 원하는 커넥터를 찾는 방법에 관한 몇 가지 팁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다양한 Molex Fit 커넥터. (이미지 출처: Molex)
가장 많이 받는 질문이 “4접점 Molex 커넥터를 찾습니다”입니다. 모르는 사람이 있을 것 같아 말씀드리면, DigiKey에서 제공하는 4접점 Molex 직사각형 하우징만 500가지가 넘습니다. 전화를 받는 기술자나 고객 모두에게 이보다 더 답답한 상황은 커넥터의 중요 기능과 용도를 기준으로 커넥터 유형을 식별하려고 할 때입니다. 동축 커넥터는 분명한 경우가 많지만 직사각형 하우징 종류나 카드 에지 종류의 커넥터는 전화상으로 설명하기 곤란한 경우가 있습니다. Pat Sagsveen이 유용한 커넥터 튜토리얼을 만들어 문서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고 있으며, 이 튜토리얼에서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커넥터 유형을 살피고 다양한 기능을 소개합니다.
다음으로 어려운 점은 커넥터 측정입니다. 전반적인 커넥터 측정값은 간단하지만 결과의 범위를 이미 좁힌 이후에 측정값을 통해 커넥터를 확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특정 커텍터로 좁히려면 적어도 유형과 몇 가지 주요 측정값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첫 번째 중요한 측정값은 접점 수와 접점이 모두 같은 크기인지 여부입니다. 대부분 커넥터의 접점 크기는 동일하지만 원형 커넥터, 일부 직사각형 커넥터 및 D 서브 커넥터에서는 확연히 크기가 다른 전원 및 신호 접점이 조합되어 있는 경우가 아주 흔합니다. 접점 수를 알았으면 “피치” 및 “열 간격”(직사각형인 경우)이나 레이아웃(원형인 경우)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피치는 한 접점의 중심에서 옆에 있는 접점의 중심까지를 측정한 값입니다. 아주 비슷하게 열 간격은 한 접점의 중심에서 다음 행에 있는 동일한 접점의 중심까지를 측정한 값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두 측정값은 동일하지만 그 값이 다른 경우도 있습니다. Ashley가 TechForum에 작성한 유용한 게시물에서는 커넥터의 피치를 시작하도록 도와주며 이러한 측정값과 사용 가능한 도구를 가져오는 방법에 관한 추가 팁도 제공합니다.
관련 커넥터의 사진도 큰 도움이 됩니다. DigiKey에서는 부품 확인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TechForum에 전체 카테고리를 만들었습니다. 이러한 사진에 있어 핵심은 찾고 있는 부품을 알아볼 수 있는 사진이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여기 같은 커넥터를 찍은 사진 두 장이 있습니다. 두 장 모두 중요한 사진이지만 하나만 보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위쪽 사진의 경우 커넥터 유형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되며, 대략적인 크기도 파악이 되어 래칭 메커니즘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자체가 유용한 정보이긴 하지만 가능한 옵션의 범위를 좁히기 위해서는 피치를 알아야 합니다. 아래쪽 그림에서 피치가 약 6밀리미터임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옵션의 범위를 좁힐 수 있습니다.
이제 커넥터 유형, 접점의 수와 크기, 피치 및 열 간격을 알고 있으므로 커넥터 옵션의 범위를 크게 줄인 것입니다. 다음 몇 가지 특징도 알아두면 좋습니다.
- 접점 반추(크림프, 납땜, IDC(절연 변위 커넥터))
- 커넥터가 자유 장착인지, 패널 실장인지 여부
- 커넥터를 결합하여 고정하는 방법. 대부분 푸시-풀이거나 래칭 메커니즘이 있지만, 원형 커넥터의 경우 베이요넷 및 나선형 하우징도 있을 수 있습니다.
위의 모든 정보를 DigiKey 웹 사이트에서 필터로 사용하여 옵션 범위를 좁히고 응용 분야에 맞는 커넥터를 찾을 수 있습니다. 그래도 커넥터를 찾는 데 문제가 있는 경우 정보를 알려주시면 DigiKey 기술자 및 엔지니어 팀이 프로젝트를 완료하는 데 도움이 되는 커넥터를 찾아드리겠습니다.
Have questions or comments? Continue the conversation on TechForum, Digi-Key's online community and technical resource.
Visit TechFor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