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A 내 느슨하게 연결된 라이브러리의 가치
EDA 도구에서 라이브러리에 대한 내 토론을 계속합니다. 느슨하게 결합된 라이브러리가 어떤 가치를 가져다 줄까요? 말하자면, 기호가 특정 풋프린트에 직접 연결되지 않은 라이브러리에서 어떤 가치를 얻을 수 있습니까?
제가 보기에는, 느슨하게 결합된 라이브러리는 회로 기능의 설계 제약 조건이 명확하고 간결하지만 물리적 기판의 설계 제약은 아직 알려지지 않은 경우에 가장 큰 가치를 발휘합니다. 느슨하게 결합된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물리적 장치에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도식 캡처에서 부품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주된 예는, 제가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특정 제품군을 언제 사용해야 하는지는 알지만 기판 레이아웃의 설계 제약 때문에 QFP 또는 QFN 패키지 변형을 사용해야 하는지는 모르는 경우를 들 수 있습니다.
느슨하게 결합된 라이브러리의 또 다른 이점은 워크플로 상의 도식 캡처에서 회로를 설계하고 시제품 제작과 생산을 위해 다양한 물리적 장치를 사용할 수 있어 수동 부품(특히 MLCC 부족이 클 때)에 대한 대체 항목을 보다 쉽게 지정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원자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자면, 느슨하게 결합된 라이브러리는 BOM에서 주문 가능한 부품 번호를 선택하는 작업을 설계 공정의 마지막 지점에서 합니다. 이는 일부 사용자에게 장점이 될 수 있습니다.
느슨하게 결합된 라이브러리는 오랜 시간 동안 생성되어 왔습니다. 제가 찾아 사용한 것 중 가장 좋은 것은 무료이면서 오픈 소스인 KiCad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아직 작업해 볼 기회가 없었다면 사용해 볼 것을 추천합니다.
물론, 사용자가 좋아하는 EDA Cad 도구에서 어떤 종류의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느냐 하는 것은 완전히 사용자의 취향이고 워크플로와 프로젝트의 유형에 따라 다르며 어떤 경우에는 두 가지 모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저는 두 가지를 모두 사용합니다. 그런 생각을 염두에 두고 이러한 라이브러리를 결합하면 어떤 가치가 있을까요?
Have questions or comments? Continue the conversation on TechForum, Digi-Key's online community and technical resource.
Visit TechFor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