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하점 전력 변환 재구상하기

시스템 설계자에게 "가장 큰 당면 과제가 무엇인가요?"라고 묻는다면, 아마도 시스템을 구동하는 장치가 기판 공간의 30% ~ 50%를 차지한다는 것과, 추가 필터링 및 전자파 장해(EMI) 억제 부품이 필요하다는 사실이라고 답할 것입니다. 가전 응용 제품에서부터 데이터 센터와 네트워킹 제품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의 전자 시스템에서, 전력은 크기와 높이를 줄이기에 가장 제한이 많은 요소 중 하나입니다.

그림 1. Murata의 2단계 벅 아키텍처에는 충전 펌프와 벅 스위칭 조정기가 포함됩니다. (이미지 출처: Murata)

전통적으로 시스템 설계자는 12V와 같은 버스 레일에서 코어 및 응용 제품 프로세서, 시스템 ASIC, 메모리와 같은 전력 시스템 부하로 전류를 하강시키기 위해 벅 부하점(POL) 컨버터에 의존해 왔습니다. 벅 변환은 수십 년간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었으며,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발전하여 견고하고 비용 효율적인 솔루션으로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출력 밀도를 실질적으로 개선하려면, 시스템 설계자들은 의례적인 개선 그 이상에 대해 생각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Murata에서는 그림 1에 표시된 것과 같이 충전 펌프와 벅 스위칭 조정기로 구성된 2단계 POL 컨버터를 소개합니다.

많은 사람들에게는 2단계 아키텍처로 개선된 효율을 제공한다는 것이 언뜻 납득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각 단계의 효율이 함께 배가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혁신적인 전환 커패시터 기술로 인해 충전 펌프는 사실상 무손실이며, 따라서 첫 변환 단계에서 상당한 효율을 제공합니다.

그림 1에서와 같이 12Vin에서 1Vout로의 통상적인 예를 고려할 때, 충전 펌프는 커패시터를 사용하여 입력 전압을 인수 3으로 나누어 12V에서 4V로 만듭니다. 두 번째 단계의 벅 인덕터는 마지막 변환으로 4V에서 1V의 부하로 만드는 더 간단한 작업을 하게 됩니다. 여기서 커패시터의 사용은 필수적인데, 그 이유는 커패시터가 인덕터에 비해 400배에 달하는 에너지 밀도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커패시터 용량에 의존하는 솔루션은 본질적으로 더 높은 출력 밀도를 제공하게 됩니다. 이제 두 번째 단계 벅 조정기는 12Vin 전체가 아닌 4V의 낮은 입력 전압에서 작동합니다. 이를 통해 벅은 작은 출력 인덕터와 결합된 저전압, 고효율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를 사용하여 빠른 과도 응답으로 매우 높은 주파수에서 작동할 수 있는 고효율 벅 조정기를 만들어 냅니다.

그림 2에서는 전통적인 단일 단계 벅을 2단계 벅 아키텍처와 면밀히 비교합니다.

그림 2. 전통적인 단일 단계 벅 컨버터와 Murata의 2단계 벅 컨버터 비교. (Image 출처: Murata).

더 전통적인 단일 단계 벅 방식이 12Vin에서 1 Vout로의 경우로 그림 2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Vx 노드(FET의 중간값)은 접지부터 Vin과 누설 유도 용량 및 기생 유도 용량에 저장된 에너지 스파이크를 합산한 값까지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고압 FET가 요구되며, 빠른 전압 변동 및 링잉으로 인해 EMI가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인덕터가 모든 작업을 수행하며 유도 용량이 비교적 높기 때문에, 효율과 과도 응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에 더해, 하이사이드 FET는 12V:1V 경우의 불과 12분의 1(1/12 )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만 전도합니다. 따라서 입력에 매우 높은 펄싱 전류가 생기므로, 추가적인 디커플링으로 전도성 EMI에의 영향을 줄여야 합니다. 이 매우 낮은 듀티 사이클 작동으로 인해, 매우 높은 스위칭 주파수에서의 작동도 불가능합니다.

그림 2에서 이 방식을 Murata의 2단계 구현과 대조해 보십시오. 충전 펌프는 정수의 간격으로 압력을 '계단식으로' 강하시키며(이 예에서는 12V를 8V로, 그 후 4V로), 따라서 각 단계에서는 4V만이 표시되고 저전압, 고효율 FET 기술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벅 조정기는 변환의 마지막 단계를 수행합니다(4V:1V). 대부분의 작업은 첫 번째 단계 정전 용량 충전 펌프에서 이미 수행했습니다. 이 아키텍처를 통해 두 번째 단계 인덕터를 줄일 수 있어, 높은 과도 응답으로 고주파수에서 실행할 수 있는 초소형 저높이 설계가 가능합니다.

첫 번째 충전 펌프가, 50% 듀티 사이클로 실행되는 단계 두 개로 구현됩니다. 두 번째 단계 벅은 듀티 사이클의 25%에 가깝게 실행되어, 입력 전류 및 맥류가 감소됩니다. 이러한 두 가지 요인으로 인해 입력 리플과 컨버터의 EMI 프로파일이 최소화됩니다. 요약하자면, Murata의 2단계 아키텍처는 효율성, 크기 및 높이와 EMI의 면에서의 개선을 실현합니다.

더 자세한 정보는 Murata의 웨비나인 'How Murata is changing the power density paradigm'을 참조하세요.

작성자 정보

Image of Tatsuya Kubo

Tatsuya Kubo is a senior product marketing manager for the Murata power semiconductor portfolio, including high-efficiency buck converters, DC-DC point-of-load converters, and charge pumps. A 20-year veteran of the power electronics industry, he has worked in design, marketing, and business development roles at Murata. Kubo received his bachelor’s degree in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ing from Ritsumeikan University in Japan.

More posts by Tatsuya Kubo
 TechForum

Have questions or comments? Continue the conversation on TechForum, Digi-Key's online community and technical resource.

Visit TechForum